‘기후테크 벤처 스타트업 간담회’에서 카본테크 대표기업으로…한덕수 국무총리 참석

칼럼

2023.03.23

로우카본은 3월 22일 개최된 ‘기후테크 벤처‧스타트업 간담회’에 기후테크 대표 기업으로 참석하여 Zero C와 CCUS 기술 등 카본테크 기술을 선보였습니다.​

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기후테크 벤처 및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한 자리로써, 지난 13일 부산에서 진행된 ‘타운홀 미팅’에 이어 개최된 이번 행사는 대통령 직속 ‘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’의 공동위원장인 한덕수 국무총리가 주최했습니다.​

한덕수 국무총리와 함께한 간담회에서 로우카본은 대한민국 대표 카본테크 회사로서 탄소중립에 기여하고자 한다며 정부의 적극 지원을 건의했고 이에 화답하여 탄녹위는 국가 신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기후테크를 적극 육성할 정책의지를 밝혔습니다.​

한덕수 국무총리는 이 자리에서 “기후테크는 우주‧AI‧빅데이터‧드론 같은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과 우리가 강점을 가진 제조업 기술이 만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적응의 해답을 제시하는 창의적인 접근법”이라며 “기후테크 분야에 대한 전폭적인 투자와 지원을 통해 전세계적 과제인 탄소중립을 한 발짝 앞당기면서 국가의 경제 성장도 함께 이루어 나가겠다”고 밝혔습니다.​

로우카본은 대한민국의 탄소중립과 녹색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기후테크 대표 기업으로서 타운홀 미팅, 간담회 행사에 모두 초청되어 정부 관계자에게 의견을 개진했으며 앞으로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반영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

사진설명: 로우카본 이철 대표이사가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Zero C를 설명하고 있다.

또한 기후테크 5대 분야 중 하나인 카본테크에 해당하는 로우카본 이철 대표이사는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직접 포집, 활용하는 기술을 설명하고 탄소기술의 미래 가능성을 선보였습니다.

로우카본 CCUS 기술은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로서 대한민국 탄소중립과 신성장 동력으로 발전시키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

이뉴스투데이

한 총리, “기후테크 육성 전략 제대로 세우고 적극 지원할 것”

사진설명: 한덕수 국무총리와 간담회 참석자들의 모습 / 사진=총리실 제공

[이뉴스투데이 대전세종취재본부 이용준 기자] 한덕수 국무총리가 22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개최된 ‘기후테크 벤처‧스타트업 간담회’에서 기후테크 육성에 대한 적극적 지원 의지를 밝혔다.​

한 총리는 이번 간담회에서 기후테크 기업인‧투자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정부의 투자와 지원을 담은 종합계획 수립을 관계부처에 주문는데, 이는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기후적응 기술을 개발하는 기후테크 기업들의 역할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.​

이날 간담회에는 한덕수 총리를 비롯해 관련 부처 차관과 ▲탄녹위에서, 주대영 사무차장, 신현석 공정전환‧기후적응분과위원장, 정수종 위원 ▲기업에서, 김종규(60Hz), 윤석규(아이솔라), 최재혁(니어스랩), 엄세훈(인투코어), 이철(로우카본), 신민정(라잇루트), 김정빈(수퍼빈), 민금채(지구인컴퍼니), 김대훈(누비랩), 박재필(나라스페이스) ▲투자사 측에서, 한상엽(소풍벤처스), 임대웅(BNZ파트너스), 이덕준(디쓰리쥬빌리파트너스) ▲경제단체장 등이 참석했다.​

기후테크란, 기후(Climate)와 기술(Technology)의 합성어로 온실가스 감축(mitigation)과 기후적응(adaptation)에 기여함과 동시에 수익을 창출하는 모든 혁신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, 기후테크는 클린‧카본‧에코‧푸드‧지오테크의 5개 분야로 구분되며, 에너지(클린), 탄소포집‧산업‧물류(카본), 환경(에코), 농식품(푸드), 관측‧기후적응(지오) 등 기후산업의 전반적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.​

현재 전 세계적으로는 한 해 500억 달러(60조원) 내외의 기후테크 자금이 투입되고 있으며, 투자금은 코로나 팬데믹 등 어려운 경제 여건에도 불구 매년 급속히 확대되는 추세로, 모든 국가는 기후테크 新시장을 선점키 위해 블랙록 등 글로벌 투자 펀드를 중심으로 기후테크에 대한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다.​

특히, EU, 미국, 중국 등 주요국들은 기후테크 분야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어, 우리나라가 이러한 상황에 뒤쳐질 경우 자칫 산업의 주도권을 상실할 우려가 있어,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.​

이날 한총리는 참석자들의 의견을 청취한 후, “지난해 기후 테크 기업에 약 60조 원이 투자될 정도로 이미 전 세계적으로 기후테크 시장을 선점키 위한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하다”며, “그런데 이런 혁신 기술을 가진 기업들이 마음껏 사업을 펼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많은 것이 안타깝다”고 말하며 현자의 고충에 대해 공감하고 있음을 밝혔다.​

이어 “ ‘기후테크’야 말로 우리나라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잠재력이 충분한 분야로, 더 늦기 전에 더욱 과감하고 확실한 기후테크 육성 대책이 필요하다”면서, “정부는 현장의 목소리와 제안들을 신속히 검토하고 반영해, 기후테크 육성 전략을 제대로 세우겠다”고 강조하며, “이를 통해 탄소중립을 한 발 앞당기고, 기후테크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할 것”이라고 덧붙였다.

출처: 이뉴스투데이 (http://www.enewstoday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647832)


연관기사

뉴스핌, 기후테크 벤처·스타트업 제품 살펴보는 한덕수 총리

(https://www.newspim.com/news/view/20230322000897)

로우카본, NDC 이끌 기후테크 대표기업 주목

(http://www.energy-news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87016)

뉴시스, 로우카본, 기후테크 간담회 참석…탄소처리 기술 선보여

(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03/0011761354?sid=101)

​연합뉴스, ‘기후테크 벤처·스타트업 간담회’ 참석한 한덕수 총리

(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01/0013830966?sid=100)

​이데일리, [포토]탄소중립시대의 새로운 성장동력 기후테크 파이팅!

(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18/0005447682?sid=105)

뒤로가기